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바로가기 서비스

질병정보

이유있는 신호 기침

과명 : 알레르기내과 / 교수명 : 고영일

기침은 원래 호흡기 내에 있는 이물이나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생리적 현상이다.

그러나 기침이 시도 때도 없이 계속된다면 우리 몸을 이롭게 하기 보다는 삶의 질을 심각하게 손상할 우려가 있다.

만성적으로 기침을 달고 살고 있다면 다른 원인을 짚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침은 우리 몸이 보내는 하나의 이상 신호다. 우리 몸이 왜 이런 신호를 자꾸 보내는지 근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기침은 기간에 따라 3주 이하를 급성기침, 3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을 만성기침으로 분류한다.

3주가 지나도 기침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기침의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성인에게 만성기침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상기도기침증후군, 천식, 호산구성기관지염, 위식도역류, 감염후 기침, 흡연에 의한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유발성 기침 등이 있다.

이외에도 폐암 등 기타 폐질환, 심부전, 심인성 기침 등이 있지만 대부분 두 가지 이상의 원인들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기침의 종류와 치료법

상기도기침증후군에 의한 기침은 코나 부비동으로부터 생성된 분비물에 의해 인후부의 기침수용체가 만성적으로 자극되어 생기는 기침으로 비염과 부비동염이 주요 원인이다. 코 분비물이 목으로 넘어가는 느낌, 코를 입으로 빨아내어 내뱉는 증상, 목을 깨끗이 다듬는 행위, 목이 간질간질한 느낌, 콧물, 코막힘, 목 쉰소리 등을 호소하면서 기침한다.

원인이 되는 비염과 부비동염을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비강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치료해야 한다.

천식에 의한 기침은 기관지에 생기는 만성적 알레르기 염증으로 주로 호산구성 염증이 보인다.

흔히 기침, 호흡곤란, 천명 등의 증상을 모두 나타내지만, 기침만을 유일한 증상으로 하거나 주로 호소하는 천식도 있다.

아래 증상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되면 천식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① 밤에 기침이나 쌕쌕거림이 나타나고 쉽게 없어지지 않으며 자꾸 반복 된다.
② 추운 날,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 가슴이 답답하고, 쌕쌕거리거나 기침이 난다.
③ 감기를 앓고 나서 숨이 차거나 한 달 이상 기침이 지속 된다.
④ 밤에 잠을 자다가 기침이나 숨이 차서 깬 적이 있다.
⑤ 운동 중에 숨이 차거나 쌕쌕거려 중단한 적이 있다.
⑥ 담배연기, 매연, 방향제, 스프레이 등의 냄새를 맡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차고 기침이 심하게 난 적이 있다.

치료는 환경조절, 약물요법, 면역요법 등의 방법이 있으며, 약물요법은 천식의 심한 정도에 따라 약물의 종류와 양을 조절한다. 흡입성 스테로이드 등의 항염증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위식도역류도 기침을 유발한다. 후비루증후군과 천식이 없는 만성기침 환자들의 절반정도가 위식도역류 증상이 동반되면서 기침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기침만을 위식도역류의 유일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 증상은 소화불량과 가슴쓰림, 흉통, 신맛 등을 호소하며, 목소리 변화가 있거나 목에 무언가 걸려있는 느낌이 있다든지, 목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식사 중 또는 식사 10분 후, 전화 통화 시, 크게 웃을 때, 잠에서 깰 때 기침을 하는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치료법은 약물요법과 함께 고단백, 저지방 식이요법, 취침 2시간 전 금식, 카페인, 술, 초콜릿 등을 피하고, 베개를 10~20㎝ 정도 높게 하고 자는 것이 좋다.

만성기관지염은 2년 이상 연속적으로 3개월 이상의 객담과 기침이 있고, 만성기침의 원인으로 후비루증후군, 천식, 기관지확장증 등이 배제된 경우에 진단이 가능하고, 담배를 비롯한 자극물질에 만성 노출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는 담배 등의 기도 자극물질에의 노출을 피하고, 흡연을 중지하면 대개 4주 이내에 증상이 호전됩니다.


만성기침의 검사·진단 순서

우선 흉부 방사선 검사를 통해 이상을 확인하면 객담검사, 컴퓨터단층촬영, 기관지내시경 등을 포함한 검사들을 시행한다.

그러나 흉부 방사선 검사가 정상인 경우, 흡연에 의한 기침이 의심되거나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복용에 의한 만성기침이 의심되면 금연 또는 약제복용을 중단하고 약 4주 정도 기침의 호전 정도를 관찰하게 된다.

이후 흡연 및 약제와 관련이 없는 기침이고, 정상 흉부방사선 소견을 보이면 상기도기침증후군, 천식, 호산구성 기관지염, 위식도역류 질환을 고려해 관련 검사를 시행한다.

기침의 호전이 없으면 감염 후 기침을 의심해 볼 수도 있겠고, 기타 흔하지 않은 원인 질환들, 즉 폐암 및 기타 폐질환, 심부전 등을 염두에 두고 검사를 시행한다.

모든 검사와 치료에도 기침이 지속되면 심인성 기침 또는 원인 미상의 특발성 기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객만족도 평가
  • 현재만족도90.0%
챗봇